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runc()
- Git
- heap
- maven
- 스케줄 삭제
- 오라클 trunc()
- web
- netstat
- MAP
- 프로세스 종료
- 스레드
- queue
- 오라클 버림 함수
- HashMap
- Servlet
- git push
- stack
- trunc(date)
- 멀티스레드
- trunc(sysdate)
- url
- cpu
- ArrayList
- desc
- 이진탐색트리
- HDD
- RAM
- null
- ssd
- 정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0)
無테고리 인생살이

메모리, 디스크, 하드디스크, 메인메모리, RAM 등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해 어렴풋이 알고있어 자세히 공부해보기로 했다. 가장 기초가 되는 CS 개념과 용어에 혼동이 오는 것에 정말 반성하며.. 글을 포스팅해본다. 컴퓨터 메모리란? RAM, 메인메모리, 주기억장치, 휘발성 메모리, 단기기억장치, DRAM(다이나믹 램) 이라고도 불린다. RAM의 사전적 의미 : Random Access Memory 순차적이 아닌 임의의 순서, 즉 랜덤으로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의 임시 저장공간 SAM : Sequential Access Memory 순차적으로 데이터에 접근하는 메모리 ex) CD, 하드디스크, 테이프 cd로 동영상을 재생했을 시, 빨리감기와 되감기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RAM의 역할 1. 프로그램..

CPU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고 구형 노트북에서 직접 분해한 인텔 CPU 스펙 탐색하기 ! CPU란?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중앙작업장치 프로세서(processor) 라고도 불린다.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로 입력한 명령어를 수행하거나, 실행 중인 프로그램 명령어를 해석하여 데이터를 계산하고 처리하는 장치이다. 각 부품에 명령을 내린다. CPU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척도인 코어, 스레드, 클럭을 사람에 비유해 이해해보자 !! 1. 코어 생각과 계산을 하는 인간의 두뇌 코어 개수에 따라 싱글코어(1개), 듀얼코어(2개), 쿼드코어(4개), 옥토코어(8개)... 라 불린다. 두개 이상 코어를 가지면, '멀티코어 또는 다중코어'라 한다. 2. 스레드 생각한 것을 실행에 옮기..

이사가 며칠 내로 다가왔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기기들을 초기화해 판매하거나 버리다가 오래된 LG Xnote 노트북을 발견했다.. 충전기를 꽂아야만 부팅이 시작됐고 팔아도 돈이 될 거 같지 않아서 초기화를 한 후, 분해하기로 했다. 초기화 완료. 분해 시작 ! 노트북 뒷면을 보자. KBD, ODD, HDD, MEMORY 라고 적혀있다. KBD는 키보드의 줄임말이고 ODD는 뭔지 몰라서 검색해봤다. ODD는 Optical Disk Drive의 줄임말이고, 광 디스크 드라이브라고 한다. CD/DVD를 읽거나 쓰는 장치이나, 읽기 기능만 가진 ODD가 대부분이며 CD-ROM이라고도 불린다. 이 장치를 이용해서 CD/DVD에 있는 내용을 컴퓨터로 전달할 수 있다. ODD는 크게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Monolithic Architecture vs MicroService Architecture MSA 이란? = MicroService Architecture 각 컴포넌트 별로 서비스를 작게 나눈 형태 즉, 하나의 큰 애플리케이션을 다수의 작은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듈화한 형태 MSA 도입 전 주로 사용했던 아키텍처는? Monolithic Architecture (모놀리식 아키텍처) 사전적 의미로는 단일체의, 한 덩어리로 뭉친 특징 전체 애플리케이션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으므로, 빌드/테스트/배포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된다. (웹 개발로 예를 들자면, 하나의 WAR 파일로 패킹됨) 여러 컴포넌트가 하나의 서비스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속도가 빠르다. 비교적 적은 컴포넌트로 이루어진 소규모의 프로젝트..
트러블 슈팅이란?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찾아서 해결하는 것. 중요한 것은 단순히 원인을 찾는 것이 아닌, 논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단순하게 가능성이 높은 것부터 제거해가며 찾는 것. '트러블 슛' 이라고도 한다. 문제 해결! 트러블 슈팅이 왜 필요한가? 단순하고 가능성이 높은 것부터 트러블을 해결해가면서, 초기에 트러블을 잡기 위해 필요하다.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맥락없이 해결하려하면, 초기 대응에 실패하면서 다운타임이 길어질 수 있다. 신속하게 서비스 장애를 복구함으로써,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