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이진탐색트리
- stack
- trunc(sysdate)
- 스케줄 삭제
- netstat
- HashMap
- HDD
- queue
- 스레드
- trunc(date)
- trunc()
- Servlet
- 정렬
- ArrayList
- RAM
- ssd
- maven
- MAP
- 프로세스 종료
- 멀티스레드
- git push
- 오라클 버림 함수
- desc
- url
- Git
- heap
- 오라클 trunc()
- web
- cpu
- nul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0)
無테고리 인생살이

GC 정의 GC가 삭제할 객체를 식별하는 방법 GC 동작 과정 (Mark And Sweep) GC 단점 및 STW Heap의 구조 GC는 언제 발생할까? GC란?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을 줄여서 GC라고 부른다. GC는 JVM의 Heap 영역에서 참조가 유효하지 않은 객체를 주기적으로 삭제하는 기능이고 GC를 동작시키는 주체, 즉 프로그램을 Garbage Collector라고 한다. JVM 안에 탑재된 또 하나의 작은 메모리 관리 프로그램(S/W)인 셈이다. 이는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메모리 누수(memory leak)을 막는 역할을 한다. C, C++에서는 이러한 가비지 컬렉션이 없어 개발자가 메모리 할당과 해제를 직접해줘야 하지만, Java는 JVM에 탑재되어 있는 가비지..

JVM 정의 JVM 전체 구조 자바 프로그램 실행과정 JVM 메모리 영역 ## 일반 프로그램 VS 자바 프로그램 일반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 위에서 실행됩니다. 하지만, 자바 프로그램은 JVM 위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JVM을 실행시키고 JVM이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킵니다. ## 자바 프로그램의 실행구조 JVM이 설치되어 있다면, 하나의 자바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에 구애받지 않고 실행이 가능합니다. (뛰어난 이식성) # JVM이란? Java Virtual Machine의 약자로, 자바 가상 머신이라고 불립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JVM은 운영체제에서 구동되며,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역할을 하는 또 다른 소프트웨어입니다. # JVM 전체 구조 Class Loader: 컴파일된..
개발자는 일반적으로 high level language를 사용해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합니다. high-level language란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인간친화적 언어이고, 이 고수준 언어로 작성된 코드를 소스코드(source code)라고 합니다. 기계는 high-level language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읽을 수 없습니다. 즉, 컴퓨터 CPU는 0,1로 이루어진 바이너리 형태의 기계어(machine code)만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작성한 소스코드를 CPU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바꿔줘야 합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는 소스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언어변환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것입니다.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점을 여러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실행 방식..

cache(캐시)란?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 장소이다. 캐시는 원본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한다. 즉, 데이터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CPU 캐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캐시들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관리된다. CPU cache란? : CPU가 자주 사용할 만한 데이터를 메인 메모리에서 꺼내와 복사 저장해 놓는 임시 저장 장소. CPU 내부나 바로 옆에 존재하는 작은 메모리 칩이다. (하드웨어) CPU 캐시의 등장배경 프로세서(CPU) 성능이 점차 발달하면서, CPU 코어와 메인 메모리간 속도 차이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CPU 코어와 메인메모리 간 데이터 접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캐시 메모리 개념 도입 캐시 메모리의 용량은 매우 작고 많은 비용이 들기..

HDD와 SSD의 가장 큰 차이점 무엇인가? '데이터를 읽고 쓰는 방식' HDD(Hard Disk Drive)는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고, SSD(Solid State Drive)는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쓴다. HDD는 플래터(하드 디스크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동그란 원판)와 헤드(head) 통해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가져온다. 장점 같은 용량을 기준으로 SSD보다 저렴하다. SSD보다 더 많은 스토리지 공간을 지원한다. (HDD는 최대 10TB / SSD는 최대 4TB) 단점 R/W head와 데이터가 존재하는 플래터의 거리가 멀수록, 데이터를 읽는 속도가 느려진다. 고속으로 플래터를 회전시켜 저장하는 방식이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하드디스크 내부의 소형 부품들이 파손될 경우, 데..